2010년 9월 27일 월요일

국립현대미술관에 전시된 '닥나무'의 황당한 영어 표기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지금 정창섭 작품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작품들이 특이한데, 대게 '닥+숫자'해서 숫자만 다른 제목의 작품이 여러개, '묵고+숫자'해서 숫자만 다른 제목의 작품 여러개 식으로 작품 제목을 달아 놓았다. 작품 옆에는 영어로도 번역된 제목이 붙었다.
 
그 중 이게 도대체 작품 제목을 번역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것이 있었다. 바로 '닥'의 번역어였다. '닥'은 닥나무의 '닥'인데 작품도 닥종이로 만들어졌다. 이 '닥'이라는 작품 제목을 영어로 'Tak'이라고 번역해 놓았다.

▲'닥'을 'Tak'으로(왼쪽), 귀를 Kwi가 아닌 'Returning'으로 번역한 국립현대미술관.(출처: 국립현대미술관 웹사이트)


번역을 한 것인지, 교통표지판처럼 발음만 옮겨 놓은 것인지 참으로 한심하다. 제목 뿐만 아니다. 작품설명에서도 '닥나무'를 죄다 'Tak'으로 옮겨 놓았다. 영어에 무식해서 그런지 귀찮아서 그런지 몰라도, 발음만 옮겨 놓았으므로, 번역이라 할 수 없다.

그런데, 다른 작품 '귀'(歸)는 영어로 'Returning'이라고 해 놓았다. '닥' 식으로 하면 '귀'를 'kwi' 해야 하는 것 아닌가? '교감'은 'sympathy'라고 하지 말고 'kyokam'으로 해야 하는 것 아닌가?

 닥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 식물이다. 우리나라에서 한지를 만드는 데 쓴 닥나무는 닥나무속(Broussonetia) 4종 중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이다.

그럼 이 '닥나무'는 영어로 뭘까?

▲뽕나무에 열린 오디.(출처: wikipedia/Jean-Pol GRANDMONT)


뽕나무과 식물 중 오디가 탐스럽게 열리는 뽕나무속(Morus) 나무들을 '멀베리(mulberry)'라고 부르고 나무에 달린 열매인 오디는 'mulberries'라고 복수형으로 쓴다. 닥나무속 식물도 오디가 열리므로, 통상 mulberry라고 부르지만 일본과 한국에서 종이를 만드는 재료라는 사실이 서양에 전해져 '페이퍼 멀베리(paper mulberry)'라고 부른다(참고: wikipedia: Morus).

나도양의 원작소설을 각색하여 이두용이 감독을 맡고, 이미숙이 주연(조연: 이대근)으로 출연한 1985년 영화 '뽕'의 영어 제목은 'Mulberry'이다(참고: 두산동아백과사전).
이 '뽕'이라는 영화의 영어 제목을 'Ppong'으로 달아 놓았다면 기가 차지 않을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니까, '닥'은 'Tak'이 아니라 'Paper mulberry'이다.

국립현대미술관은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가 아니라 Kukriphyundaemisulkwan아닌가?

2010년 9월 16일 목요일

"나라면 카드뮴 '낙지 머리'는 먹고 대신 쌀밥을 줄이겠다."

[프레시안]이라는 매체에 "나라면 카드뮴 '낙지 머리'는 먹지 않겠다"는 아주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며 형편없는 기사가 떳다.

"이번에 서울시가 분석·발표한 낙지와 문어 머리(내장)에 들어있는 카드뮴 양은 한 달에 한번을 먹더라도 유럽연합 식품안전국(EFSA·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이 허용한 기준을 훨씬 웃돌기 때문이다."


라며, 그래서 글쓴이는 먹지 않겠다고 한다.


2009년 3월 20일자로 배포한 유럽연합 식품안전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의 새로운 카드뮴 주간섭취허용량(tolerable weekly intake; TWI)을 그 근거로 내세웠다.


유럽연합 주간섭취허용량이 사람몸무게 1kg당 2.5ug, 즉 60kg 성인이 1주일에 카드뮴을 150ug까지 허용되므로,  29.3㎎/kg이 검출된 중국산 낙지를 기준으로 하면 "일주일에 낙지 내장을 5g 이상 먹으면 안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고 한다.


낙지 한 마리를 200g이라고 하고, 낙지의 내장비율을 10% 정도 이므로 내장 무게가 20g이므로 앞의 중국산 낙지를 기준으로 하면, 내장에 카드뮴 0.586mg이 나오며, 내장 5g 일때 약 0.1465mg(146ug)이므로 계산은 대충 맞아떨어진다.  


그러면서,


 "카드뮴 섭취는 낙지 머리(내장)와 먹물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다른 해산물과 각종 채소와 곡류를 통해서도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실제로 낙지 머리는 일주일에 2~3g 이상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분석을 할 수 있다. 낙지 한 마리가 아무리 작아도 20~30g(보통은 150g 이상)은 족히 될 터이므로 한 달에 한 번도 곤란하다는 것이다. 결론은 적어도 낙지 머리는 아예 먹지 말라는 것이 된다"


고 한다. 낙지에서 카드뮴은 거의 다 내장에만 축적되어 있으므로 위의 인용문을 내장으로 해석하면, 200g 낙지 한 마리 내장이 대략 20g이므로 유럽 기준으로 살려면 대충 맞는 말 일수도 있겠다.(150g은 뭔 소린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참에 나는 맛있는 낙지를 포기하지 않고, 쌀밥을 포기하기로 했다.


쌀의 카드뮴 허용치는 0.2mg/kg이다. 밥 한 공기에 들어가는 쌀은 약 100g이므로 일주일에 7 공기면 140ug으로 괜찮고, 8 공기를 먹어버리면 160ug으로 유럽의 카드뮴 주간섭취허용량을 넘어 버린다.


기사에 따르면 "카드뮴 섭취는...다른 해산물과 각종 채소와 곡류를 통해서도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므로 실제로" 쌀밥은 일주일에 2-3 공기 "이상 먹어서는 안 된다는 분석을 할 수 있다."


WHO의 카드뮴 주간 섭취량은 7ug/kg으로 유럽보다 관대한데, 몸무게 60kg 기준으로 주간 0.42mg(420ug)이다. 이를 쌀로 환산하면 21kg(=카드뮴 0.42mg), 즉 밥 21 공기 이상 먹으면 안 된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음식으로 카드뮴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매일 3끼 꼬박꼬박 밥 한 그릇을 먹는 것만으로 관대한 WHO 카드뮴 기준을 채워버린다. 그래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나라 사람들보다 체내 카드뮴량이 월등히 많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카드뮴 없는 쌀을 개발하고 있다.


카드뮴은 일반적으로 육류보다는 채소와 곡류를 통해 많이 섭취하게 된다. 유럽연합 식품안전국도 채식주의자들은 카드뮴 섭취량이 주간허용량을 2배 초과하므로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카드뮴 때문에 낙지 대가리로 고민하지 말고, 이 참에 쌀밥과 채소를 확 끊는 것이 "이타이이타이병이나 단백뇨, 골연화증, 전립선암"을 예방하는 더 현명한 방법이다.


*참고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일본, 식품중의 카드뮴 대책에 관한 금후의 연대에 관하여>.

농식품안전정보서비스. <미국, 수은: 쌀이 위험할 수 있음>.

[한국일보]. 2006.9.5. <폐광 관리않더니… '중금속 쌀'이 식탁에>.

[메디컬투데이]. 2008.10.13.<작년 카드뮴오염 쌀 2t 폐기>.

[YTN].2004.9.21.<'카드뮴 오염 벼 3년간 78t 폐기'>.

2010년 9월 15일 수요일

낙지 카드뮴 대가리 논란에 부쳐

서울시가 낙지 대가리 속 내장만 꺼내어 검사하고는 카드뮴 함량이 기준치(2ppm)의 최고15배(중국산)나 넘었다고 했다. 그러자 즉각 식약청이 잘못된 검사라고 반박했다. 이번 논란은 따로 꺼내어 먹지도 않는 낙지 문어 쭈꾸미의 내장만을 검사한 서울시의 비합리적인 검사에 그 책임이 있다.

카드뮴은 지구표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식물에 당연히 뿌리를 통해 흡수되며 이걸 먹는 동물에게 전달되기 마련이다. 동물이 카드뮴의 독성에 매우 취약했다면 아마 지구상에서 진화해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식물에서도 잎이나 줄기 보다는 뿌리에 카드뮴이 많듯이, 동물에서는 내장에 많을 수밖에 없다.  카드뮴이 온 몸통 전체에 골고루 퍼져 있을 수 없다. 카드뮴이 검출 안 되는 생물도 없다.

이번에 카드뮴 기준치를 무려 10배를 초과했다 '카더라'고 하는 국내산 내장 함유 카드뮴 20ppm짜리 국내산 생물낙지를 먹는다고 하자. 여기서 몸통에는 카드뮴이 없다고 친다. 낙지는 몸에서 내장이 차지하는 비율을 10%(식약청은 9%로 환산. 따라서 내장만 꺼내 검사하려면 9배 기준치로 상향해야 한다.)로 한다. 내장 카드뮴 20ppm이면, 낙지 전체로 환산하면 2mg/kg이 된다(식약청 기준치에 딱 맞아버렸다). 낙지 한 마리는 200g이므로 1/5로 계산하면 낙지 한 마리당 0.4mg이 나온다.

우리나라 국민 일인당 연간 쌀 섭취량이 70kg이다. 쌀의 식약청 카드뮴 기준치는 0.2mg/kg이므로, 위의 낙지처럼 기준치에 턱걸이한 쌀로 먹는 카드뮴은 14mg/년이 된다. 위의 낙지로 환산하면 1년 동안 35마리를 먹어야지 쌀로 먹는 카드뮴과 같아진다. 참고로 매년 기준치를 초과한 쌀은 정부가 수매해서 폐기한다.

뉴스를 보면 어느 소비자 단체에서는 "소비자로서는 머리가 영양성분이 많아서 유익한 줄 알고 익혀 먹었다"고 하는 데, 이런 엽기적 식생활을 하는 자들은 위험을 감수하고 먹어야 한다. 검역 안 된 뱀탕, 개고기, 사슴피 먹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만약 낙지 머리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카드뮴이 집중적으로 축적되는 특성에도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했다든지 상대적 장점이 있다면 식약청은 득과 실을 연구해 알려주면 좋지 않겠느냐" 고 하는 데, 삶던 문어 대가리가 튀어나와 웃을  소리이다. 내장 속 깊숙한 곳에 '몸에 좋다 카더라'라는 게 들어 있어 봤자 기껏 아미노산(단백질) 아니겠는가? 아미노산 섭취하려고 두족류 내장을 빨아먹는 수고는 할 필요없다.

카드뮴 기준치는 식습관을 고려해서 주당 7ug/kg만 넘지 않도록 설정하면 될 일이다. 이번 낙지 사태는  내장만 꺼내는 해괴한 검사방식으로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퍼트린 서울시의 잘못이다.

*참고
식품의약품안전청. 2010.09.14. 설명자료(낙지머리(내장) 중 카드뮴 기준치 검출 보도관련).
서울신문. 2010. 9. 15.‘낙지머리 카드뮴’ 진실은…